제3차 사토 내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제3차 사토 내각은 1970년 1월 14일부터 1972년 7월 7일까지 사토 에이사쿠가 이끈 일본의 내각이다. 1970년에는 일본 만국 박람회 개최 및 요도 호 사건이 발생했고, 미·일 안보 조약이 자동 연장되었다. 내각 구성원은 법무대신, 외무대신, 대장대신 등을 포함하며, 1971년 7월 5일 개조를 통해 일부 장관이 교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1년 일본 - 니시야마 사건
니시야마 사건은 1971년 오키나와 반환 협정 당시, 니시야마 기자가 입수한 밀약 문서를 폭로하면서 발생했고, 이는 미일 간 오키나와 반환 협정의 이면에 원상복구 비용을 일본 측이 부담한다는 내용의 밀약이 존재함을 드러낸 사건이다. - 1971년 일본 - 제9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제9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는 1971년 6월 27일에 실시되었으며, 자유민주당이 가장 많은 의석을 확보했고, 투표율은 지역구와 전국구 모두 59%대를 기록했다. - 1970년 일본 - 안보 투쟁
안보 투쟁은 1960년 기시 노부스케 내각의 미일안전보장조약 개정에 반대하여 일본에서 일어난 대규모 사회 운동으로, 조약 강행 처리와 시위 격화 속에 발효되었고, 이후 일본 정치에 다양한 영향을 미쳤다. - 1970년 일본 - 미시마 사건
미시마 사건은 1970년 미시마 유키오가 방패회 회원들과 함께 육상자위대 동부방면총감부를 점거하여 헌법 개정과 자위대 국군화를 주장한 후 할복 자결한 사건으로, 그의 민족주의적 사상과 전후 일본 사회의 혼란을 보여주며 사회적 논쟁과 성찰을 촉구했다. - 사토 에이사쿠 - 비핵 3원칙
비핵 3원칙은 일본이 핵무기를 생산, 보유, 반입하지 않겠다는 자체 원칙으로, 반핵 여론과 중국 핵실험 우려 속에 1967년 사토 에이사쿠 총리에 의해 선언되었으나, 법적 구속력 및 실효성 논란과 미일 간 해석 차이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 - 사토 에이사쿠 - 오키나와 반환
오키나와 반환은 제2차 세계 대전 후 미국의 통치 하에 있던 오키나와현이 1972년 5월 15일 일본에 복귀한 사건으로, 냉전 시대 미국의 군사적 요충지 활용과 오키나와 주민의 복귀 운동, 일본 정부의 외교적 노력이 결합하여 이루어졌으나, 미군 기지 문제와 경제적 격차 등의 과제가 남아있고 복귀에 대한 다양한 평가가 존재한다.
제3차 사토 내각 | |
---|---|
내각 정보 | |
내각 명칭 | 제3차 사토 내각 |
내각 번호 | 63대 |
관할 국가 | 일본 |
![]() | |
출범일 | 1970년 1월 14일 |
해산일 | 1971년 7월 5일 |
국가 원수 | 쇼와 (천황) |
정부 수반 | 사토 에이사쿠 (내각총리대신) |
정치 정당 | 자유민주당 |
야당 | 일본사회당, 공명당, 민주사회당, 일본공산당 |
의회 현황 | 다수 (하원) |
선거 | 1971년 참의원 선거 |
이전 내각 | 제2차 사토 내각 |
다음 내각 | 제3차 사토 내각 (개조) |
2. 주요 사건
- 일본 만국 박람회가 오사카부 스이타시에서 1970년 3월 14일부터 1970년 9월 13일까지 183일간 개최되었다.
- 적군파 활동가에 의한 일본항공 국내선 351편(보잉 727-89기, 일명 ‘요도호’) 항공기 납치 사건(이른바 요도 호 하이재킹 사건)이 발생했다.
- 일본과 미국 간의 상호 협력 및 안전 보장 조약이 1970년 6월 23일부로 기한이 10년 지났지만 조약의 규정으로 자동 연장되었다.
3. 내각 구성
wikitext
제3차 사토 내각의 각료 명단은 다음과 같다.
직명 | 성명 | 비고 |
---|---|---|
내각총리대신 | 사토 에이사쿠 | |
법무대신 | 고바야시 다케지 | 1971년 2월 9일 면직 |
아키타 다이스케 | 1971년 2월 9일 ~ 1971년 2월 16일 | |
우에키 고시로 | 1971년 2월 17일 임명 | |
외무대신 | 아이치 기이치 | |
대장대신 | 후쿠다 다케오 | |
문부대신 | 사카타 미치타 | |
후생대신 | 우치다 쓰네오 | |
농림대신 | 구라이시 다다오 | |
통상산업대신 | 미야자와 기이치 | |
운수대신 | 하시모토 도미사부로 | |
우정대신 | 이데 이치타로 | |
노동대신 | 노하라 마사카쓰 | |
건설대신, 긴키권 정비 장관, 주부권 개발 정비 장관, 수도권 정비 위원회 위원장 | 네모토 류타로 | |
자치대신 | 아키타 다이스케 | 법무대신(1971년 2월 9일 ~ 2월 16일) 겸임 |
내각관방장관 | 호리 시게루 | |
총리부 총무장관 | 야마나카 사다노리 | 환경청 장관(1971년 7월 1일 설치) 겸임 |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 행정관리청 장관 | 아라키 마스오 | |
방위청 장관 | 나카소네 야스히로 | |
경제기획청 장관 | 사토 이치로 | |
홋카이도 개발청 장관, 과학기술청 장관 | 니시다 신이치 |
- 내각법제국 장관 : 다카쓰지 마사미
- 내각관방부장관
- 정무 담당 : 기무라 도시오
- 사무 담당 : 이시오카 미노루
- 총리부 총무부장관
- 정무 담당 : 미나토 데쓰로
- 사무 담당 : 이와쿠라 노리오(1971년 1월 8일까지), 구리야마 렌페이(1971년 1월 8일부터)
3. 1. 국무대신 (1970년 1월 14일 ~ 1971년 7월 5일)
직명 | 성명 | 비고 |
---|---|---|
내각총리대신 | 사토 에이사쿠 | |
법무대신 | 고바야시 다케지 | 1971년 2월 9일 면직 |
아키타 다이스케 | 1971년 2월 9일 임명, 1971년 2월 17일 면직 | |
우에키 고시로 | 1971년 2월 17일 임명 | |
외무대신 | 아이치 기이치 | 재임명 |
대장대신 | 후쿠다 다케오 | 재임명 |
문부대신 | 사카타 미치타 | 재임명 |
후생대신 | 우치다 쓰네오 | 첫 입각 |
농림대신 | 구라이시 다다오 | |
통상산업대신 | 미야자와 기이치 | |
운수대신 | 하시모토 도미사부로 | |
우정대신 | 이데 이치타로 | |
노동대신 | 노하라 마사카쓰 | 첫 입각 |
건설대신, 긴키권 정비 장관, 주부권 개발 정비 장관, 수도권 정비 위원회 위원장 | 네모토 류타로 | |
자치대신 | 아키타 다이스케 | 겸임, 법무대신 (1971년 2월 9일 ~ 2월 16일) |
내각관방장관 | 호리 시게루 | 재임명 |
총리부 총무장관 | 야마나카 사다노리 | 겸임, 환경청 장관 (1971년 7월 1일 설치) |
환경청 장관 | 야마나카 사다노리 | 1971년 7월 1일 설치 |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 행정관리청 장관 | 아라키 마스오 | 재임명 |
방위청 장관 | 나카소네 야스히로 | |
경제기획청 장관 | 사토 이치로 | 첫 입각 |
홋카이도 개발청 장관, 과학기술청 장관 | 니시다 신이치 | 첫 입각 |
내각법제국 장관 | 다카쓰지 마사미 | |
내각관방부장관(정무) | 기무라 도시오 | |
내각관방부장관(사무) | 이시오카 미노루 | |
총리부 총무부장관(정무) | 미나토 데쓰로 | 1970년 1월 20일 임명 |
총리부 총무부장관(사무) | 이와쿠라 노리오 | 1970년 1월 16일 ~ 1971년 1월 8일 |
구리야마 렌페이 | 1971년 1월 8일 임명 |